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종합소득세 신고할 때 모두채움신고대상자중에서도 일반신고가 더 많이 돌려받을 수 있는 케이스가 있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? 

     

     

    모두채움 서비스는 정말 편리하지만, 어떤 경우에는 일반 신고가 훨씬더 많이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.

    특히나 사업초기에 장비를 구입하면서 초기비용이 많이 들었다면 더욱 주목해주세요.

     

     

    📌 바쁜 분들은 아래 홈텍스에서 빠르게 일반신고 하는법 볼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종합소득세 일반신고 하는방법

     

    홈텍스접속해서 세금/신고 >> 종합소득세 신고>>왼쪽에 모두채움신고 아래에 있는 일반신고 에서 신고해주세요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종합소득세 일반신고 화면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1.기장 세액 공제 받을 수 있는 경우

     

    🟦기장 세액 공제란

    솔직히 매달 나가는 기장료도 아까운게 사실인데 이럴 때 좀 더 도움되는게 있네요.

     

    세무사에게 기장을 맡겼다면 해당내용을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🟦기장 세액 공제의 혜택

     

    세액 공제 비율: 기장된 소득 금액의 20%를 세액 공제로 받을 수 있으며, 최대 100만 원까지 공제됩니다.


    절세 효과: 정확한 기장을 통해 실제 경비를 더 정확히 반영하면, 세금을 줄일 수 있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소득 금액이 5,000만 원인 납세자가 복식부기로 기장을 하면, 최대 100만 원까지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. 이렇게 하면 모두채움 서비스로 자동 계산된 금액보다 세금을 적게 낼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2.높은 경비율을 적용할 수 있는 경우

     

    🟦경비율이란?

     

    경비율은 소득에서 공제 가능한 경비의 비율을 의미합니다. 단순 경비율은 국세청이 정한 일정 비율로 경비를 공제해주지만, 실제 경비율은 여러분이 실제로 지출한 경비를 모두 반영할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🟦높은 경비율의 혜택

     

    경비 공제: 실제 지출한 경비가 단순 경비율보다 높을 경우, 이를 정확히 반영하여 공제를 받을 수 있습니다.


    손실 반영: 사업 초기에 장비 구매 등으로 지출이 많은 경우, 실제 경비를 반영하면 손실을 기록할 수 있어 세금을 크게 줄일 수 있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예를 들어, 연간 소득이 2,000만 원인 유튜버가 있다고 가정해보세요.

    단순 경비율로 60%가 적용되면 1,200만 원이 경비로 공제됩니다.

     

     

    그러나 실제로는 3,000만 원의 경비가 발생했다면, 이를 반영하면 1,000만 원의 손실이 발생하게 됩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🟦왜 유리한가요?

     

    실제 경비를 반영하여 신고하면 더 높은 경비 공제를 받을 수 있어, 세금 부담이 줄어듭니다.


    손실이 발생한 경우, 이를 다음 연도로 이월하여 사용할 수 있어 장기적으로 세금을 절약할 수 있습니다.


    초기 사업 연도에 발생하는 높은 경비를 반영할 수 있어, 세금 환급을 최대화할 수 있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결론

    모두채움 서비스는 매우 편리하지만, 기장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거나 실제 경비율이 높은 경우에는 일반 신고를 통해 더 큰 절세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. 여러분의 상황에 맞는 최적의 신고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관련글 더보기

    📌당근마켓 판매한것도 세금낸다고?

     

     

    반응형